■2021. 10. 14 (목) 신규상장

□카카오페이 / 거래소 (기타 금융업)
총공모주식수 17,000,000주 희망공모가 60,000~90,000
확정가 90,000원 청약경쟁률 29.6 : 1

안정성 보통 수익성 보통 성장성 보통

EPS 204 PER 441.8 BPS 13448 PBR 6.7
SPS - PSR -

총발행주식수 130,367,125주

□공모후 유통가능물량(보호예수 전환 후 등)

유통제한 61.09%(79,646,370)
유통가능물량 38.91%(50,720,755)

□투자판단

공모가가 상단인 9만원으로 확정되어 시가총액 33위이고 상장 후 상한가 도달할 경우 시가총액 25조원으로 시가총액 18위.
SK텔레콤 보다 높고, 모든 금융사들을 제치고 1위가 되기 때문에 밸류에 비해 공모가가 높게 산정되었으나 기존의 카카오 그룹사들과 같이 밸류 평가는 무의미할 것으로 보임.

상장 후 주주 구성은 최대주주 카카오가 47.83%, 2대주주 알리페이가 39.12%, 우리사주가 2.61%, 공모주주가 28.47%.


매출은 5년간 83%가 성장했고 카카오와 배달의민족에 대한 매출의존도가 34% 수준.
매출 비중은 결제서비스 부분이 62%로 높으며 나머지는 기타 금융쪽에서 발생.
급격한 매출 성장은 배달, 숙박관련 O2O 부문의 발달과 각종 온라인 쇼핑, 커머스 등이 다양해지며 시장이 커졌고, 20년 시장 점유율은 전년대비 4% 늘어난 16.6%를 기록.

21년은 1분기 흑자에서 2분기는 영업적자로 전환했고 1분기 호실적으로 인해 반기는 26억 흑자.

회사는 공모자금을 증권리테일 사업확장에 3,000억, 디지털 손보사 자본확충에 1,500억, 이커머스 파트너십 구축에 2,3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함.

알리페이는 28.47%를 상장일부터 매도 가능하나 알리페이 매도 가능물량을 제외하면 유통물량은 5%이내로 알리페이의 매도 물량에 따라 변동성이 생길 수 있음.

단점으로는 내수시장이 크지 않아 지속적인 고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과 더 큰 시장 점유율을 보유한 네이버, 삼성페이와 지속적으로 경쟁해야 된다는 점.

본인의 투자판단에 의해 신중하게 매매 하기 바랍니다.

'신규상장 종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티드랩 분석 및 전망  (0) 2021.11.04
피코그램 분석 및 전망  (0) 2021.11.03
크래프톤 분석 및 전망  (0) 2021.11.01
엔켐 분석 및 전망  (0) 2021.11.01
지아이텍 분석 및 전망  (0) 2021.10.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