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2. 3 (수) 신규상장

□와이더플래닛 / 코스닥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총공모주식수 1,000,000주 희망공모가 12,000~15,000
확정가 16,000원 청약경쟁률 1357.98 : 1

안정성 보통 수익성 보통 성장성 보통

EPS -715 PER -22.4 BPS 2254 PBR 7.1
SPS - PSR -

총발행주식수 6,763,282주

□공모후 유통가능물량(보호예수 전환 후 등)

유통제한 43.79%(2,961,827)
유통가능물량 56.21%(3,801,455)

□투자판단

와이더플래닛은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에 기반한 자동화된 프로그래매틱 마케팅 서비스플랫폼을 기업(광고주)에게 제공하는 기업으로 마케팅과 광고 성과에 기준해 수익을 창출.

회사의 주요 서비스는 타겟팅게이츠라고 하는 마케팅 플랫폼으로 기업(광고주)과 매체를 사용하는 소비자를 연결. (경쟁사로는 에코마케팅, 나스미디어 등이 있음)

매출비중은 모바일 65%, PC 35% 수준으로 모바일 매출비중이 늘고는 있으나 전체 매출은 감소하는 추세.
모바일 광고는 18년과 19년 200억초반이었으나 2020년은 200억에 못 미칠 것으로 보이며, PC도 2년간 120억원대에서 20년 76억으로 감소.

매년 영업적자를 기록하는 기업이나 상장을 진행하고 공모가 흥행한 이유는 신규서비스로 추진중인 ATD(Advertising Trade desk)와 PMD(Predictive Merchandising)에 대한 기대감 때문으로 판단 됨.

ATD에 관련된 설명은 아래와 같음.

ATD는 회사의 DSP기반에 타DSP사 및 애드테크사들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하여 최적화해 운영하는 것입니다.
DSP는 매체를 직접 소유하지 않고 매체로부터 필요한 광고노출을 광고주의 니즈에 맞게 실시간으로 구매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플랫폼이며 이는 광고지면을 그때그때마다 결정해서 구매하기 때문에 광고주에게 효과적입니다.
ATD는 소비자의 행태와 기호 빅데이터 플랫폼을 가장 잘 활용하면서 회사의 매체 뿐만 아니라 유튜브, 페이스북, 네이버, 카카오 등 여러 프로그래매틱 플랫폼에 광고를 노출할 때 데이터를 활용하여 광고주의 마케팅 효율을 다른 대행사 보다 높일 수 있습니다.
PMD는 회사의 온, 오프라인 사용자의 구매습관, 패턴, 개인선호, 지출내역, 구매시기 및 기타 여러 고객 데이터를 토대로 이를 분석하여 미래에 발생할 수요를 예측하여 적합한 상품을 빠르게 발굴하고 기획해서 판매하는 사업모델입니다.

단점으로는 내수 시장 위주라는 점과 빅데이터 기반 마케팅 기업들이 많아 경쟁이 치열하다는 점.
유통물량이 많다는 점.

본인의 투자판단에 의해 신중하게 매매 하기 바랍니다

'신규상장 종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분석  (0) 2021.02.09
아이퀘스트 분석  (0) 2021.02.09
레인보우로보틱스 분석  (0) 2021.02.03
엔비티 분석  (0) 2021.01.22
에프앤가이드 분석  (0) 2021.01.03

+ Recent posts